성격이란 무엇인가?
내면, 드러나는 모습을 다포함해서 성격이라고 말할수 있다. 성도들 중에 어린아이와 같은 사람들이 많이 있다. 대인관계의 문제도 있는 목회자도 있다. 사회적무리를 주는 사람도 있다. 상대방에 대한 손가락질 하는 가능성도 있는 과목이다. 먼저 자신을 돌아보는 수업이되길 바란다.자신의 부족, 성장의 관점에서 수업에 임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기 자신에 대해 이해와 성장이 필요하다. 자신에 대한이해와 상담현장, 목회현장이 되어야 한다.
우리 학교 신학교육중에 심리테스트를 하는 경우가 없다. 필수적인 심리테스트를 봐야 목회자조건에 검증할수 있다. 3-5년단위로 심리테스트를 할수 있어야 한다. 성격심리학은 많은 경우 테스트로 통해 발견할수 있다. 신학은 인간학이고, 신학은 하나님을 알아가는 학문이다.
성경심리학을 통해서 인간의 본성을 이해할수 있다.
성격심리학을 통해서 인간의 성장을 이해할수 있다.
* 성격의 정의
겉으로 드러난 부분을 묘사할때가 많이 있다. 성격은 원래 내면적인 부분을 많이 많을 한다. 내면이나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을 통해 판단한다.
1.인간의 생각, 사고, 인간의 감정, 인간의 행위, 3가지를 전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성격이다.
2.성격은 인간이 삶에 적용하는 부분이다. 삶의 반응하는 행동이다. 삶의 문화에 형성되는 것이다. 성격은 타고나기도 하고
상황에 의해 만들어진다.
3.성격은 공동적인 부분 : 예)한국사람의 성격-다혈질적인 성경이 있다. 다혈질적인 민족-이테리/아일랜드/한국, 아일랜드는 한 국민족과 비슷한 환경이 되었다. 개인적인 차이는 무엇인가?라는 궁금증에서 성격심리학이 시작되었다. 문화적인 공통적인 부부으로형성 된다.
4.성격은 비교적 안정되고 일관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오늘 그사람이 맞게되는 행동, 한달뒤에 나타나는 행동이 일관되다. 행동패턴이 있다. 교회에서 성도들의 행통패턴도 예측할수 있다.성격은 쉽게 변하지도 않고 엎엔 다운이 되지 않고, 일관되고, 안정되게 나타난다.
한국인 심리에 맞추어 성격을 연구할수 있어야 한다.
성격연구의 테스트 : 객관식문제는 그 사람의 문제를 정확하게 볼수 없다.
1.자기보고검사(self-reportor),
2.심리상담사들이 개인적인 면담,
3.행동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성격을 파악할수 있다.
성격검사법
1.Myers-Briggs : 융의 이론을 토대로 객관식 평가방식
2.MMPI:1940년대 개발되어 1990년대 2가 개발됨.
(미네소타 다중인격검사)
3.CPI:켈리포니아 심리검사- 20세기 성격심리학이 목회상담에 큰 공헌을 하였다.
목회돌봄(Cura animarum) 영혼의 돌봄, 20세기가 되기전에는 성경의 메세지를 가지고 전달하는 것임, 심방의 부분, 치료 : 오일같은 것 가지고 가서 아픈곳을 발라줌, 많은 목회자들이 이런 일을 많이 함, 카톨릭에서는 고해성사로 치료를 해 주었다. 상대방에게 마음의 무게를 틀어 주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성격심리학이 들어 옴으로 사람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지금 상화은 미국과의 상황이 같다. 미국에서는 목회상담이 쇠락기에 들어가 있다. 한국은 목회상담기의 중기이다. 2차대전당시 원목을 많이 뽑아 상담을 대신해주었다. 목회를 마치, 목회상담인 것 처럼 잘못이해하게 되었다. 목회적 돌봄에 전문화 된 한 영역이였다. 목회상담은 목회 돌봄을 제공하는 한 부분이다.
심리학을 볼때 비평적으로 보아야 한다. 브라우닝교수 주장 : 두가지 자료를 가지고 평생 실험함,
* 프로이드
유대교 기독교전통의 종교적 믿음,- 심리학(성격심리학)-현대모든 심리학은 프로이드로 출발했다. 프로이드는 유대인이였고, 구약성경을 꾀고 있었던 사람이다. 그 안에 기독교적인 바탕을 깔고 있다.
심리학자들의 성장과정, 이론, 근본이 되는부분 설명을 중심으로 강의 함. 구분, 검증해 내어 수업을 해 나감. 과목의 목적임
'삶의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냥~~ (0) | 2010.10.07 |
---|---|
오늘 포토퍼니아에 빠졌다. (0) | 2010.10.01 |
“자살, 예방할 수 있습니다!!” (0) | 2010.10.01 |
‘예수가 가르쳐 준 상담의 비결’ (0) | 2010.10.01 |
아버지의 치유와 회복 (0) | 2010.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