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일상

[스크랩] 예배자료]] `열린예배`의 예배학적 이해

백미란목사 2010. 7. 20. 16:03
  • 예배자료]] `열린예배`의 예배학적 이해
  • 열린예배`의 예배학적 이해 들어가는 말최근 수 년 동안 한국교회 예배에 일어났던 가장 큰 변화는 소위 열린예배의 도입과 보급이다. 강남의 몇몇 교회들을 주축으로 하여 도입된 이 예배는 마치 열풍처럼 전국 교회에 퍼져 많은 한국교회들의 예배를 바꾸어 놓았다. 예배당에 있어서 높고 접근이 불가능하던 강단들은 마치 연극 무대처럼 낮고 넓어졌으며, 강단 부분에는 드럼과 앰프, 그리고 기타와 신디사이저 등 온갖 종류의 악기들이 자리를 잡게 되었다. 뿐만이 아니다. 종래의 예배는 오직 성직자만이 강단에 올라갈 수 있었으나, 이제는 여러 사람이 한꺼번에 강단에 올라가 각자 마이크를 하나씩 잡고 율동을 하면서 찬송을 하는가 하면, 때로는 강단에서 드라마나 촌극(skit) 또는 각종 발표회 등이 행해지는 일도 다반사가 되었다. 지금 한국교회의 목회자들에게는 이것이 현대 예배의 추세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많은 목회자들이 이 흐름을 따라가지 못해 고민하거나 아니면 적어도 여기에 동참해야 할 것인가 말 것인가 하는 고민 중에 있다. 교회와 목회자의 이러한 당면함에 비해 그 동안 학계에서 내 놓은 이에 관한 의견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열린예배에 대한 예배학적 분석을 통해 그 본질을 규명하고 올바른 이해를 갖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다고 하겠다.I. 열린예배의 기원한국교회에 열린예배가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이유는 미국의 성장하는 교회들 다수가 이 예배를 실시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며, 이는 어느 정도 사실이다. 현재 미국에서 열린예배를 실시하고 있는 대표적인 교회로는 본산지인 윌로우크릭 교회 외에도 미시간주에 위치한 갈보리 교회(Calvary Church in Grand Rapid, Michigan)와 인디아나주에 위치한 "그랜져 커뮤니티 교회"(Granger Community Church in South Bend, Indiana), 그리고 아리조나주에 위치한 "기쁨의 공동체 교회" (Community Church of Joy, Phoenix, Arizona)와 미시간 주에 위치한 "삼위일체 감리교회" (Trinity United Methodist Church, Lansing, Michigan)등을 꼽을 수 있다. 물론 열린예배는 원래 빌 하이블스(Bill Hybels) 목사가 1992년 미국 일리노이주의 남부 배링톤(South Barrington) 지역에 윌로우크릭 교회(Willow Creek Church)를 세우면서 시작한 구도자 예배(Seekers service)가 그 시초이다. 그러므로 열린예배는 구도자 예배(Seekers Service)라고 불러야 정확한 이름이 된다. 그러나 한국교회에는 이것이 열린예배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열린예배 혹은 구도자 예배를 혼용하기로 하겠다.빌 하이블스 목사는 교회를 개척하면서 제일 먼저 자기가 개척하게 될 교회의 회중을 파악하고 결정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다. 그가 생각한 자기 목회와 선교의 주된 대상은 교회가 위치해 있는 배링톤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 중에서도 특히 25세에서 50세까지의 연령층으로서 전문적인 직업에 종사하는 비 기독교인들이었다. 일단 대상을 정한 후에는 그들이 왜 교회에 나오지 않는가를 조사하였는데 빌 하이블스 목사가 파악한 이유는 다음의 다섯 가지였다: 첫째, 교회는 언제나 돈(헌금)을 요구하는데, 그것이 얼마나 요긴하게 사용되는지는 알지 못한다. 둘째, 예배가 지루하고 생명력이 없다. 셋째, 예배가 매우 단조롭고 똑같은 것을 매번 반복한다. 넷째, 설교가 일상생활과 너무 동떨어져 있다. 넷째, 예배에 참석하러 온 사람들로 하여금 죄의식을 느끼게 하고 무지하다는 생각을 갖게 함으로써 결국 집에 돌아갈 때에는 교회에 들어올 때보다 더 참담한 심정이 되게 한다.특히 예배에 관하여는 문제가 더 복잡하였는데, 불신자들의 눈으로 볼 때에 기존의 예배는 용어와 분위기와 동작 등에 있어서 모두 낯설기 때문에 불신자들이 이러한 예배에 적응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불신자들이 전통적 예배에 적응하지 못하는 이유는 다음의 여섯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전통적인 예배는 초신자들을 당황하게 한다. 예컨대 초신자들은 성경책이나 예배집을 사용할 줄 모르며, 또 언제 일어서고 언제 앉는지 알지 못한다. 둘째, 전통적 예배는 교회의 용어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초신자들은 이를 알아들을 수 없다. 예컨대 "사도신경," "복음," "사순절" 등의 용어들이다. 초신자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용어들은 피부에 와 닿지 않으며 자기들과 관계없는 말들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에 다음에 또 참석할 마음이 사라진다. 셋째, 전통적인 예배는 실제의 삶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예를 들면 목사가 입고 있는 가운은 실제 생활에서는 전혀 입지 않는 것이며, 교회에서 사용되는 다른 상징이나 제스쳐들도 비 기독교인의 이성적인 사고로는 이해되지 않는 것들이다. 넷째, 전통적인 예배에서 불려지는 노래는 따라 부르기가 어렵다. 예전적인 노래들은 지나치게 산문적이고 우아하며 신학적이다. 이 노래...더보기
출처 : Daum 지식
글쓴이 : 박병훈님 원글보기
메모 :